어음 · 수표 활용법
A.어음·수표의 기초지식
  - 언제부터 어떤 필요성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는가
  - 어음·수표에는 어떤 기능이 있는가
  - 어음·수표는 상인의 지폐
  - 어느 정도 이용되고 있는가
  - 발행부터 지급받을 때까지
  - 어음교환과 부도
- 어음의 종류도 여러 가지
  - 어음용법, 수표용법에 따른다
B.어음·수표의 발행은 이렇게 한다.
C.특수 어음 수표 발행법
D.배서는 어떻게 하면 되는가
E.어음할인, 어음대출이란 어떤 것인가
F.어음 수표 취급 주의사항
G.부도부터 거래정지처분까지
H.부도어음의 어음금 회수는 이렇게 한다
I.환어음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어음의 종류도 여러 가지

어음의 종류는 아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법률적으로는 약속어음과 환어음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용하는 목적과 어음의 경제적인 기능에 따라 어음은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다. 이를 간단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① 상업어음과 융통어음 상업어음이란 현실의 상거래에 기인해서 발행된 어음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상품과 원재료에 대한 대금을 지급하기 위해 발행된 어음을 상업어음이라 부르는 것이다. 상업어음을 진성(眞性)어음, 실(實)어음, 상품(商品)어음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상업어음과 달리 융통어음은 현실적인 상거래 없이 오직 돈을 조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한 어음이다. 돈이 없을 때 아는 사람에게 어음을 발행받아, 그 어음을 이용해서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경우가 있다. 이때 쓰여지는 어음이 융통어음이다. 융통어음을 호의(好意)어음, 빈어음, 차(借)어음이라고도 한다. 간단히 말하면, 상업어음은 돈의 지급을 위해 발행한 어음이고 융통어음은 다른 사람에게 빌리거나 상호 맞바꾸어 사용하는 어음이다. 상업어음의 발행인은 상품의 매수인(買受人)이므로 구입한 상품을 매각해서 그 대금으로 어음을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대개의 경우 상업어음의 지급은 확실하다고 할 수 있다. 융통어음의 경우는 어음을 빌린 사람이 지급기일까지 발행인에게 어음금액에 해당하는 돈을 돌려주어야 하는데 어음을 빌린 사람은 원래 돈이 없기 때문에 지급기일까지 돈을 준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융통 어음은 부도가 나기 쉽기 때문에 신용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시지 상거래에 있어서는 융통어음보다 상업어음이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②단명어음과 복명어음 단명어음은 어음금의 지급의무자가 1명밖에 없는 어음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발행인만 있고 배서인과 보증인이 없는 어음인 것이다. 복명어음이란 어음금의 지급의무자가 2명 이상 있는 어음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배서인과 보증인이 있는 어음으로 어음이 부도가 났을 때 배서인과 보증인은 어음금을 지급할 책임이 있다. 따라서 어음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는 단명어음보다는 복명어음쪽이 신용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③ 수취어음과 지급어음 수취어음이란 자신이 받아 소지하고 있는 어음, 즉 자기가 어음금을 청구할 수 있는 어음을 말한다. 지급어음은 자기가 발행한 어음, 즉 자신이 어음금의 지금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어음을 말한다. ④ 회전어음 어음상에 배서인이 있는 어음을 말한다. 자신에게 직접 발행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 사이를 돌아온 어음이라는 의미에서 이 이름이 붙었다. 따라서 회전어음은 복명어음인 것이다. 더 자세한 것은 D장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⑤ 대부어음 은행이 돈을 빌려줄 때는 빌리는 자에게 차용증을 쓰게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단기의 대출일 경우는 차용증 대신에 어음을 발행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발행하는 어음을 대부어음이라 한다. 빌리는 자를 발행인, 은행을 수취인, 대출일이 발행일, 상환일이 지급기일, 대출금과 이자의 합계가 어음금액이 된다. 대부어음은 보통 단명어음이지만 보증인이 있으면 복명어음이 된다. ⑥ 담보어음 현재의 채무 또는 장래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채무의 이행을 담보하기 위해 발행되는 어음을 말한다. 담보어음은 일반적으로 배서금지를 한 뒤 수취인에게 교부한다. ⑦ 부도어음 지급을 제시했을 때 지급을 거절당한 어음을 말한다. ⑧ 개서어음(연장어음) 이미 발행된 어음의 지급기일이 도래했을 때 어음의 지급을 연장할 목적으로 새로 발행하는 어음을 말한다. 개서어음을 발행했을 때 종전의 어음을 돌려주는 경우와 돌려주지 않고 양쪽 모두를 상대가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고리 대부 등은 종전의 어음을 돌려주지 않는다. ⑨ 과시어음 소지인에게 재산이 많은 것처럼 꾸미기 위해 또는 제3자에게 보일 목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어음을 빌려주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과시어음이라고 한다. 만일 과시어음이 제3자에게 양도된 경우, 과시어음의 지급인은 이러한 사정을 모르는 제3자에 대해 어음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언제부터 어떤 필요성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는가 어음·수표에는 어떤 기능이 있는가
 어음·수표는 상인의 지폐 어느 정도 이용되고 있는가
 발행부터 지급받을 때까지 어음교환과 부도
어음의 종류도 여러 가지 어음용법, 수표용법에 따른다